논문
연구자 논문제목 학회 게재지명 게재권(집) 게재호 페이지 게재일자
<[최장근]> 일제강점기 저수지 축조에 관한 연구 -미즈사키 린타로의 수성못 개축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103 p.153 2024.11.30
<[최장근]> 한일 양국의 독도 영유권 인식의 간극 -상호주의 관점에서 독도영토학 정립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104 p.345 2024.11.30
<[최장근]> 일본판 위키피디아 ‘죽도(竹島)’의 전전 역사/지리에 대한 정오(正誤) 분석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100 p.145 2024.02.29
<[최장근]> 일본의 독도 도발과 미 공군의 독도 폭격사건 한국일본문화학회 日本文化學報 98 p.177 2023.08.31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독도 영유권 날조 선동과 일본정부의 동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 34 p.237 2023.06.30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일본 고문헌 기록에 대한 독도 영유권 해석 날조- 좌장 SM씨를 중심으로 - 영남대 독도연구소 독도연구 33 p.251 2022.12.31
<[최장근]> 신한일어업협정 전후 일본정부의 '죽도=고유영토' 날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 32 p.127 2022.06.30
<[최장근]> 일본의 ‘죽도’ 고유영토론 날조에 관한 분석 - 일본의회의사록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93 . p.53 2022.05.31
<[최장근]> 한일협정 이후 일본의 ‘죽도 고유영토’론 악용: 일본 의회의사록을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한일군사문화연구 34 . p.113 2022.04.30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칙령41호'석도=독도'의 부정과 공론화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 30 p.35 2021.06.30
<[최장근]> 대일평화조약 이후 일본의 독도에 대한 대응조치 한일군사문화학회 한일군사문화연구 31 p.211 2021.04.30
<[최장근]> '은주시청합기'와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에 대한 재해석 -죽도문제연구회(시모조 마사오)의 날조를 비판하면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89 p.349 2021.02.28
<[최장근]> 일본정부의 안용복 공적 날조에 대한 비판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 29 p.243 2020.12.31
<[최장근]> 일본의 독도 영유의 권원 날조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비교일본학 49 p.63 2020.09.30
<[최장근]> 독도 영유권에 대한 전후 연합국의 영토처리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회 85 p.103 2020.05.31
<[최장근]> 한일협정 이후 한일 간의 ‘해양경계 변경’이 독도 ‘영유권’에 미친 영향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74 p.295 2020.04.30
<[최장근]> 일본인들의 독도 영유권에 대한 내셔널리즘적 사고 ―하토야마 유키오 전 수상의 “독도=한국영토론”에 대해― 한일군사문화학회 한일군사문화연구 29 p.263 2020.04.30
<[최장근]> 해방 직후부터 평화선 선언까지 ‘경계수역 변경’에 따른 독 도 ‘영유권’에 미친 영향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85 p.333 2020.02.29
<[최장근]> 일본의회의 국제사법재판소에 대한 인식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 26 p.229 2019.06.30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독도 영유권 부정을 위한 『동국문헌비고』‘여지고’ 날조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70 p.175 2019.04.30
<[최장근]> 한국 고문헌의 <우산도=일본 명칭의 '송도'=독도>에 관한 고증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81 p.303 2019.02.28
<[최장근]> 시마네현의 '죽도의날' 제정 이후 국제사법재판소에 대한 일본의회의 인식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 25 p.371 2018.12.31
<[최장근]> 일본 외무성의 독도 영유권 날조 방식 -일본 외무성홈페이지의 '다케시마' 논리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한일군사문화연구 25 p.205 2018.04.30
<[최장근]> 일본의 독도 영유권주장의 모순성 연구 -'죽도문제연구회, 함평중학교 독도동아리, 2찬네루'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59 p.311 2018.02.28
<[최장근]> 2017년, 죽도문제연구회의 독도영유권 날조와 선동 방식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75 p.5 2017.11.30
<[최장근]> 일제의 간도침략 의도와 '동부 동간도' 명칭의 생성에 관한 검증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57 p.289 2017.08.31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칙령41호 <석도=독도> 날조에 대한 논증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 22 22 p.171 2017.06.30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평화선"에 대한 사실 조작 방식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73 p.31 2017.05.31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대일평화조약' 영유권 조작 방식 한일군사문화학회 한일군사문화연구 23 p.161 2017.04.30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독도=한국영토' 부정을 위한 '태정관지령' 조작방식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54 p.313 2016.11.30
<[최장근]> 근대 일본인의 울릉도, 독도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한일군사문화학회 한일군사문화연구 22 p.177 2016.10.31
<[최장근]> 일본의 독도 연구에 대한 한국 관할권의 인정 -한일협정에서 신한일어업협정까지-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70 p.5 2016.08.31
<[최장근]> 일본정부의 '이승만라인'과 '미일행정협정'의 모순적 주장에 대한 검토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52 p.247 2016.05.31
<[최장근]> 19세기 중엽, <<죽도잡지>>로 보는 일본인의 울릉도, 독도 인식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회 68 p.29 2016.02.29
<[최장근]> <<다케시마잡지>> 속의 울릉도와 독도 인식과 영유권문제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57 p.265 2016.01.15
<[최장근]> 한일 양국 간의 영토문제에 대한 상호인식 -독도문제 해결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50 p.89 2015.11.30
<[최장근]> 막부의 울릉도 도해 금지에 따른 민간의 대응과 독도 영유권 -<<다케시마잡지>>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한일군사문화연구 20 p.219 2015.10.31
<[최장근]> 전근대 마쓰마에 일본인의 독도에 관한 인식론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67 p.319 2015.08.31
<[최장근]> '죽도' 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시모조 마사오를 한 유형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66 p.427 2015.08.31
<[최장근]> 간도의 중국관할 경위 -시노다 지사쿠의 간도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49 p.269 2015.08.31
<[최장근]> 이한기 <간도>론의 비판적 분석 -올바른 간도영토론의 정립을 위해-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64 p.617 2015.02.28
<[최장근]> 일본의 고지도, 고문헌상의 <우산도=석ㄱ도=독도> 부정에 대한 비판 -'죽도문제연구회'의 100문100답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62 p.309 2014.08.31
<[최장근]> 고유영토론을 위한 '우산도'가 칙령41호 '석도'로 전환되는 독도명칭에 관한 논증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90 2 p.283 2014.08.31
<[최장근]> 독도, 센카쿠제도, 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61 p.241 2014.05.31
<[최장근]> 미국의 영토 형성과 독도 고유영토론에 대한 인식 -미국의 영토팽창론을 중삼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62 p.395 2014.05.31
<[최장근]> 시마네현 '죽도문제연구회'의 일본영토론 조작방식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44 p.393 2014.05.31
<[최장근]> 미국 건국에 있어서 영토성립과 영토의식에 관한 연구 -독도문제에 미칠 미국의 영토인식-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60 p.387 2014.02.28
<[최장근]> 1970년대 '북부대륙붕협정'에 관한 일본국회의 논쟁 -일본국회 의사록을 통한 논쟁- 한국민족문제학회 한일민족문제연구 25 p.179 2013.12.31
<[최장근]> 일본정부의 독도주권 도발 재점화에 관한 고찰 -죽도문제연구회의 선동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87 p.361 2013.11.30
<[최장근]> 한일협정 직후 일본의 죽도 정책 소멸 -일본의회의사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42 p.355 2013.11.30
<[최장근]> 독도문제의 「발생시점 · 위치 · 크기 · 속도」의 편견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55 p.245 2012.11.30
<[최장근]> 한국 부산지역에서의「일본학」연구의 진보와 추이 -대한일어일문학회 논문집『日語日文學』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56 p.363 2012.11.30
<[최장근]> 독도의 「가치 · 명칭 · 실효적 관리」에 대한 편견 연구 -無人孤島라는 독도의 특징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38 p.131 2012.11.30
<[최장근]> 독도명칭<우산, 석도, 독도>의 생성배경 -독도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을 위한 과제 백산학회 백산학보 93 p.213 2012.08.30
<[최장근]> 고지도상의 「우산도」 명칭에 관한 연구 -「석도=독도」 규명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36 p.221 2012.05.31
<[최장근]> 일본정부의 대일평화조약에서 ‘죽도’영토 확립의 억측 주장 -대일평화조약 직후의 일본의회속기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53 p.261 2012.05.31
<[최장근]> 일본정부의 ‘이승만라인’ 불법성 주장의 부당성 논증 -평화선 선언 직후의 일본의회 속기록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54 p.445 2012.05.31
<[최장근]> 미일행정협정과 ‘죽도’영유권과의 무관성에 관한 논증 -일본의회속기록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 30 p.499 2012.03.31
<[최장근]> 한국의 울릉도, 독도 개척사에 대한 일본의 조작행위 -가와카미 겐조와 다무라 세이자부로를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51 p.407 2011.11.30
<[최장근]> 김충선에 대한 정밀 탐구 -관직으로 보는 사야가의 위상-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52 p.389 2011.11.30
<[최장근]> <다무라 세이자부로>의 죽도 영유권 조작에 관한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51 p.327 2011.08.31
<[최장근]> 가와카미 겐죠의 독도에 관한 역사적 권원 조작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39 p.569 2011.07.30
<[최장근]> 가와카미 겐죠의 국제법적 지위 조작에 관한 연구-평화선 선언시기 일본정부의 '죽도=일본영토'논리조작- 한일민족문제학회 한일민족문제연구 20 p.129 2011.06.30
<[최장근]> 독도의 지위와 영토 내셔널리즘과의 관계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50 p.387 2011.05.31
<[최장근]> 일본정부의 대일평화조약 시기의 '죽도' 영유권 인식-일본의 국회의사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48 p.353 2011.02.28
<[최장근]> 일본정부의 '이승만라인 철폐'의 본질규명 -일본의 한일협정 비준국회의사록 분석-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76 2 p.331 2011.02.28
<[최장근]> 안중근 사상의 진화과정에 관한 연구 -유고집과 어록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49 p.449 2011.02.28
<[최장근]> [Book Reviews] ]the Dokdo/Takeshima Controversy between Korea and Japan 동북아역사재단 The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7 2 p.137 2010.12.01
<[최장근]> 현 일본정부의 '죽도문제' 본질에 대한 오해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47집 p.279 2010.11.30
<[최장근]> 동아시아의 헤게모니 이동에 따른 국가영역의 변동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제75집2권 p.435 2010.11.30
<[최장근]> 일본의 사료 왜곡 해석과 독도 영유권의 부정 -최신 발굴 사료를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46 p.113 2010.08.31
<[최장근]> 한일협정에서 확인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한계성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47 p.429 2010.08.31
<[최장근]> 한일협정에 있어서 한국의 독도 주권 확립과 일본의 좌절 -일본 비준국회의 의회속기록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74 2 p.269 2010.08.31
<[최장근]> 일본 국내의 '죽도' 영유권을 둘러싼 갈등 구조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45 p.330 2010.05.31
<[최장근]> 일본 민주당정부의 영토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44 p.457 2010.02.28
<[최장근]> 근대한국의 독도관할과 통감부의 인식-<석도=독도> 검증의 일환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72 2 p.297 2010.02.28
<[최장근]> 이승만, 장면, 박정희정부의 간도정책 분석 백산학회 백산학보 85 p.269 2009.12.31
<[최장근]> <총리부령24호>와 <대장성령4호>의 의미 분석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71 2 p.505 2009.11.30
<[최장근]> 통일한국에 있어서 <조중변계조약>의 위상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 20 p.211 2009.09.30
<[최장근]> 일제의 간도정책에 관한 성격 규명 -<조선 간도 경영안>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제43집 p.353 2009.08.31
<[최장근]> 동아시아의 전근대<속국>과 근대 <영토> 및 현대 <주권국가>와의 관계성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제70집 2권 p.405 2009.08.31
<[최장근]> 일제 통감부의 간도 지견과 간도정책 본질의 고찰-<조선간도경영안>(1906년4월)을 중심으로- 백산학회 백산학보 84 p.247 2009.08.31
<[최장근]> 북방영토와 독도 문제의 성격 비교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40 p.445 2009.02.28
<[최장근]> 현대 일본의 독도 영토화를 위한 정치적 행위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68 2 p.346 2009.02.28
<[최장근]> 죽도문제연구회의 <죽도문제에 관한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비판적 검토-명치시대-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41 p.373 2009.02.28
<[최장근]> <인슈시초고키> 왜곡 해석의 기원-근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인식과 침략 경위-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29 p.377 2009.01.15
<[최장근]> <죽도경영자 나카이요사부로씨 입지전>의 해석 오류에 대한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40 p.275 2008.11.30
<[최장근]> 일본의 이혼 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의 이혼구조와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66 2 p.329 2008.08.31
<[최장근]> 한일 양국의 영토인식 형성과 교과서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 15집 p.99 2008.06.30
<[최장근]> 간도와 독도 영토문제의 비교분석-공통점과 차이점 분석으로 상호 시사점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38집 p.247 2008.05.31
<[최장근]> 한중영토문제의 정치적 이해 -동북아 헤게모니와 간도영토문제의 해결의 취약점 백산학회 백산학보 제80호 p.427 2008.04.30
<[최장근]> 일본의 죽도,독도 역사연구 현황과 쟁점-1905년 죽도영토편입-2005년 죽도의 날 제정-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논총 19호 p.7 2007.12.30
<[최장근]> 경상북도와 시마네현 교류 중단과 전망 -교류중단 2년 간의 양 지자체의 손익계산서-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제35집 p.213 2007.11.30
<[최장근]> 독도 영유권의 일본적 논리 계발의 유형- <죽도문제연구회>를 사례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제36집 p.409 2007.11.30
<[최장근]> 국제사법재판의 특성과 독도 해결의 정치적 요인 분석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제18집 p.153 2007.11.30
<[최장근]> 일본제국기의 독도/죽도 선행연구 분석-독도 영토문제 본질규명을 위한 시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 제13집 p.509 2007.10.30
<[최장근]> 일본의 주변 3국과의 영토분쟁의 특성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35집 p.383 2007.08.31
<[최장근]> 전후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토전략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제36집 p.443 2007.02.28
<[최장근]> 일부 일본학자들의 독도 사료조작으로 인한 영유권 본질의 훼손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제32집 p.401 2007.02.28
<[최장근]> 근대일본의 국제공법 수용과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제15집 p.239 2007.02.28
<[최장근]> 일본의 중앙-지방정부의 독도 사료 조작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제33집 p.353 2007.02.28
<[최장근]> 영토정책의 관점에서 본 '일한병합'의 재고찰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제35집 p.617 2006.11.30
<[최장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북한'의 대응양상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제32집 p.210 2006.11.30
<[최장근]> 전후 일본의 <센카쿠제도>에 대한 영토전략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 제11집 p.245 2006.10.30
<[최장근]> 전후일본의 독도 역사성 왜곡에 관한 고찰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제20집 p.243 2006.10.30
<[최장근]> 한국의 독도영토문제 해결을 위한 소고 -과제와 전망에 관해서-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34집 p.545 2006.08.30
<[최장근]> 전후 일본의 북방4도에 대한 영토전략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제31집 p.301 2006.08.30
<[최장근]> 전후일본의 독도인식의 오해에 관한 검토-다나카 타카키씨의 <죽도문제>에 대한 비판(2)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제13집 p.95 2006.08.30
<[최장근]> 독도영토의 역사적권원에 관한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30집 p.260 2006.05.30
<[최장근]> 일본영토의 변천과정과 영토분쟁의 현황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30 pp.417-442 2005.08.30
<[최장근]> 영토분쟁의 현황과 전망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24 pp.321-341 2005.02.28
<[최장근]> 초기일러국경의 결정요인 -아이누,러시아,일본,그외의 국제관계의 정치역학적 측면에서 고찰- 일본 쥬오대학 사회과학연구소 중앙대학사회과학연구소연보 8 pp.293-329 2004.06.30
<[최장근]> 러일국경분쟁과 아이누민족의 지위소멸과정에 관해서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25 pp.561-588 2004.05.30
<[최장근]> 전후 일본영토처리의 특수성과 영토분쟁요인 -로컬리즘, 내셔널리즘, 리저널리즘의 카테고리에서 분석-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11 p.11 2004.05.30
<[최장근]> 전후 일본영토처리의 특수성과 국경분쟁의 발생요인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22 pp.285-306 2004.05.30
<[최장근]> 일본 대륙낭인의 간도문제 개입과정 백산학회 백산학보 71 pp.437-472 2004.04.30
<[최장근]> 샌프란시스코조약의 영토조항에 관한 고찰 -정치성에 관해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21 pp.245-270 2004.02
<[최장근]> 19C 러일 제국주의국가의 아이누모시리 분할 -아이누모시리를 둘러싼 국제정치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23 pp.539-576 2003.10.30
<[최장근]> 근대 러일 양제국의 사할린,아이누지역의 분할 대구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26 pp.235-248 2003.08.30
<[최장근]> 한중일3국의 간도영유권에 대한 인식 -일본의 간도문제 개입기(1905년 전후기)-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19 pp.215-244 2003.05.30
<[최장근]>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의 논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지역연구 12-2 pp.99-111 2003.03.30
<[최장근]> 현대일본정치의 아이덴티티 모색과 그 방향성 -일본내셔널리즘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일본학회 일본학보 54 pp.499-520 2003.03.30
<[최장근]> 일본정치와 동북아 정세의 변동 -일제의 항일운동 근거지 탄압-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18 pp.367-397 2002.11.30
<[최장근]> 어업협정과 독도 및 EEZ와의 관련성 한국일본학회 일본학보 50 pp.439-465 2002.03.30
<[최장근]> 근세일본의 조선침략과 영토정책- 항왜일본인 사야카의 실체에 관해서- 조선사연구회 조선사연구 10 pp.369-399 2001.10.30
<[최장근]> 한일국경의 형성과정과 인식의 변화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1 pp.123-146 2000.10.30
<[최장근]> 일한어업협정과 일본외교 일본쥬오대학 법학신보 107-3/4 pp.311-331 2000.09.10
<[최장근]> 일본외교의 양면성에 관한 고찰 한국일본학회 일본학보 44 pp.645-662 2000.06.30
<[최장근]> 한국통감부의 간도침입에 관한 고찰 조선사연구회 조선사연구 6 pp.159-186 1999.12.30
<[최장근]> 일본의 한국황실 말살과 동화정책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 이은의 정략결혼을 중심으로 조선사연구회 조선사연구 8 pp.177-200 1999.10.30
<[최장근]> 일본정치의 외교적 특질에 괸한 연구 -대정정부와 군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일봉어문학회 일본어문학 7 pp.433-479 1999.08.30
<[최장근]> 일본의 만한정책에 있어서 간도협약의 일고찰 일본 중앙대학 사회과학연구소 일본 중앙대학사회과학연구소연보 3 pp.27-48 1999.06.30
<[최장근]> 일본의 한청국경문제연구와 소속론에 관한 인식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10 pp.323-347 1998.08.30
<[최장근]> 일제의 간도에 관한 일청협약 체결의 제요인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5 pp.409-442 1998.08.20
<[최장근]> 일본문화수용을 요구하는 일본의 의도와 우리의 자세 안보문제연구소 통일로 120 pp.66-71 1998.08.01
<[최장근]> 일본의 간도분쟁개입과 청일간도문제 교섭과정 해외한민족연구소 한민족공동체 6 pp.199-212 1998.05.30
<[최장근]> 일제의 간도 통감부파출소 설치경위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 7 pp.86-115 1997.12.30
<[최장근]> 한국통감부의 간도침입에 관한 연구 조선사연구회 조선사연구 6 pp.159-186 1997.12.30
<[최장근]> 일제의 한국보호국화 과정 -국제관계적 측면에서 간도정책과 관련하여- 한국학보 한국학보 89 pp.103-137 1997.12.10
<[최장근]> 한국통감 이등박문의 간도영토정책의 구상의 배경 백산학회 백산학보 48 pp.259-281 1997.06.30
<[최장근]> 근대일본의 영토정책사연구 -만한국경획정문제를 중심으로- 일본쥬오대학 대학원 법학연구과 법학박사(정치학) p.587 1997.03.18
<[최장근]> 간도에 관한 일청협약 체결과 간도지위의 변화 일본중앙대학 대학원 법학연구과 대학원연보 26 pp.207-219 1997.02.28
<[최장근]> 독도영토의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안보문제연구원 통일호 92 pp.50-59 1996.04.01
<[최장근]> 한국통감이등박문의 간도영토정책(2) 일본중앙대학법학회 법학신보 102-9 pp.171-187 1996.03.25
<[최장근]> 한국통감부의 간도침입 일본중앙대학대학원 법학연구과 대학원연보 25 pp.123-136 1996.02.28
<[최장근]> 한국통감이등박문의 간도영토정책(1)-통감부파출소의 설치결정경위- 일본중앙대학 법학회 법학신보 102-7/8 pp.175-202 1996.02.15
<[최장근]> 을사보호조약의 재조명 안보문제연구원 통일로 90 pp.73-85 1996.02.01
<[최장근]> 간도협약에 숨겨진 일본의 음모 북한연구소 북한 285 pp.96-105 1995.09.01
<[최장근]> 통감이등의 만한영토정책 구상과 간도 일본중앙대학 법학연구과 대학원연보 24 pp.189-201 1995.02.20
<[최장근]> 메이지 정부의 영토확장정책 -독도의 시마네현편입을 중심으로- 일본 쥬오대학 법학연구과 법학석사(정치학) p.135 1994.03.18
<[최장근]> 메이지정부의 조선동해에 있어서의 영토정책 일본 중앙대학 법학연구과 대학원연보 23 pp.209-221 1994.02.20
<[최장근]> 일제의 간도정책에 대한 한국의 입장에 관한 고찰 조선사연구회 조선사연구 7 pp.205-244 1990.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