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치현]> |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의 ‘사회공동체(Societal Community)’ 이론: 현대사회에서 연대 체계의 형성 |
한국이론사회학회 |
사회와 이론 |
47 |
|
p.77 |
2024.03.31 |
<[박치현]> |
인문사회 학술 생태계와 지역 균형 발전: 안정적 연구자 재생산을 위한 연구 안전망 모색 |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
문명과 경계 |
7 |
|
p.83 |
2023.09.01 |
김연철, 민병교, <박치현> |
지능화된 플랫폼과 유기적 연대의 쇠퇴: 뒤르켐 이론의 변용 |
한국이론사회학회 |
사회와 이론 |
|
45 |
p.91 |
2023.07.31 |
<[박치현]> |
한국 대학 교수직의 카스트적 분화와 ‘지식인’의 장소 |
참여연대 |
시민과 세계 |
|
42 |
p.93 |
2023.06.30 |
[김란], <[박치현]>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 청년의 탈호명 정치: 후랑(後浪) 현상과 따공런(打工人) 정체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이론학회 |
사회이론 |
|
63 |
p.91 |
2023.05.31 |
<[박치현]> |
1930년대 미국 사회학 패러다임의 탄생: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의 사회학 정체성 모색과 제도화 |
한국이론사회학회 |
사회와 이론 |
|
42 |
p.203 |
2022.07.31 |
<[박치현]> |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의 대학론과 한국 대학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현상과 인식 |
46 |
1 |
p.51 |
2022.03.31 |
<[박치현]> |
대학의 위기와 학술생태계 : 대학과 연구(자)의 상생을 위하여 |
법과사회이론학회 |
법과 사회 |
69 |
|
p.1 |
2022.02.28 |
<[박치현]> |
사회학과 경제학의 구분과 통합: 파슨스 사회학에서 경제학과의 경계 만들기 |
한국이론사회학회 |
사회와 이론 |
38 |
|
p.7 |
2021.05.30 |
<[박치현]> |
미국 대학의 구조적 다양성과 한국 대학 고용구조 개선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현상과 인식 |
44 |
2 |
p.169 |
2020.09.30 |
<[박치현]> |
대학 교원고용구조와 86세대 |
문화과학 |
9771228026004 |
102 |
102 |
p.336 |
2020.06.05 |
<[박치현]> |
1980년대의 자기기술 - 민중, 중산층, 중민, 시민 |
역사문제연구소 |
역사문제연구 |
23 |
1 |
p.47 |
2019.04.30 |
<[박치현]> |
극우주의에 대한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의 비판 : 파시즘과 매카시즘을 중심으로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현상과 인식 |
42 |
2 |
p.61 |
2018.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