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나], <[김혜숙]> |
한국과 미국 교사의 개별화 및 디지털 활용 수업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
한국교육평가학회 |
교육평가연구 |
37 |
3 |
p.635 |
2024.09.30 |
[차현진], <[김혜숙]>, 한나라 |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 |
10 |
p.459 |
2024.05.31 |
<[김혜숙]>, [신안나] |
미래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향에 대한 중학교 구성원의 요구: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
중등교육연구 |
71 |
3 |
p.287 |
2023.09.30 |
[김미림], <[김혜숙]> |
Profiles of Students' ICT Use in High-Performing Countries in PISA 2018 |
Taylor & Francis |
Computers in the Schools |
40 |
3 |
p.262 |
2023.08.16 |
<[김혜숙]>, [차현진], 김현진, 한나라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 |
11 |
p.579 |
2023.06.30 |
[길혜지], <[김혜숙]> |
중학생의 시험스트레스 영향 요인 분석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한국교육논총 |
44 |
1 |
p.1 |
2023.04.30 |
<[김혜숙]>, 신안나 |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논의: 개념과 실행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한국교육논총 |
43 |
2 |
p.139 |
2022.08.31 |
<[김혜숙]>, Shin-bok Yu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nvironment, motivation, engagement and transfer of training of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
17 |
2 |
p.221 |
2020.12.31 |
<[장군자]>, [이은영], <김혜숙> |
심정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팀 기반 수업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역량과의 관계: 자기효능감 수준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
45 |
2 |
p.208 |
2020.05.31 |
[유신복], <[김혜숙]> |
수학교과에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 유형 분석: 학교 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미래교육학연구 |
32 |
2 |
p.23 |
2019.08.31 |
<[김혜숙]>, [함은혜] |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특성 분석 - 과학성취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교육과정평가연구 |
22 |
3 |
p.199 |
2019.08.30 |
<[김혜숙]>, [유신복] |
교사의 교수 및 평가방법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
수산해양교육연구 |
30 |
5 |
p.1703 |
2018.10.31 |
<[Hyesook Kim]> 외 2명 |
Evaluation of a digital textbook program in terms of implementation fidelity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
15 |
1 |
p.3 |
2018.06.30 |
<[김혜숙]> 외 1명 |
PISA 2012 수학 컴퓨터기반평가에서의 '큰 물고기 작은 연못 효과'(BFLPE) 분석 |
한국수산해양교육연구 |
수산해양교육연구 |
30 |
3 |
p.1065 |
2018.06.30 |
<[김혜숙]> 외 3명 |
OECD PISA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ICT 접근 및 활용 수준 추이 분석 |
한국정보화진흥원 |
정보화정책 |
24 |
4 |
p.17 |
2017.12.29 |
<[김혜숙]> 외 1명 |
고등학교 시기 EBS 수능강의 수강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 참여 분석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 |
44 |
3 |
p.65 |
2017.10.31 |
<[김혜숙]> 외 1명 |
대졸자의 직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 특성 분석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8 |
1 |
p.145 |
2017.03.31 |
<[Hyesook Kim]> |
The Impact of Students' ICT Use on Mathematical Performance based on PISA 2015 Korean data |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
학교교육연구 |
11 |
|
p.1 |
2016.12.31 |
<[김혜숙]>, [유신복] |
원격교원연수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분석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7 |
3 |
p.437 |
2016.09.30 |
<[김혜숙]>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논리모형에 대한 탐색: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
수산해양교육연구 |
28 |
2 |
p.336 |
2016.04.30 |
<[김혜숙]> 외 2명 |
교원의 원격연수 참여 유형에 따른 직무역량 및 현업적용도 수준 분석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 |
43 |
1 |
p.99 |
2016.04.30 |
<[김혜숙]>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요소의 관련성 탐색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7 |
1 |
p.201 |
2016.03.31 |
<[김혜숙]>, 유예림 |
대학 수업의 운영 충실도가 대학생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육평가학회 |
교육평가연구 |
29 |
1 |
p.147 |
2016.03.31 |
<[김혜숙]> 외 1명 |
EBS 수능강의 수강과 사교육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수능 상위권 학생들을 중심으로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
중등교육연구 |
63 |
1 |
p.67 |
2015.03.31 |
<[김혜숙]> |
수능점수의 향상도에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
중등교육연구 |
62 |
4 |
p.561 |
2014.12.31 |
<[김혜숙]>, 함은혜 |
PISA 2012 수학 교과의 정의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
한국교육평가학회 |
교육평가연구 |
27 |
5 |
p.1311 |
2014.12.31 |
<[Kim, Hye-Sook]> 외 2명 |
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he ICT literacy level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ELSEVIER |
Computers & Education |
77 |
|
p.29 |
2014.06.01 |
[Ki-Sang Song], <[Hye-Sook Kim]>, Jongwon Seo, Chang-hwan Kim |
Development and pilot test of ICT in education readiness indicators in the global context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
10 |
2 |
p.243 |
2013.12.31 |
<[김혜숙]>, [계보경], 길혜지, 전종희 |
스마트교육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 세종시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 |
40 |
3 |
p.27 |
2013.10.30 |
<[김혜숙]>, [이재열], 홍미애 |
학교정보화 지수와 학업성취도 간 관계에 대한 탐색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4 |
3 |
p.25 |
2013.09.30 |
<[김혜숙]> 외 2명 |
산업계 관점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금속철강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평가학회 |
교육평가연구 |
26 |
1 |
p.1 |
2013.03.31 |
<[김혜숙]>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및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3 |
3 |
p.87 |
2012.09.30 |
<[김혜숙]> |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PISA 2009 한국 자료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3 |
1 |
p.1 |
2012.03.31 |
[김경성], [전우천], 이수영, <김혜숙>, 곽현석, 김종훈, 서정희 |
우리나라 초,중학생의 ICT 리터러시 수준 평가 |
초등교육연구원 |
한국초등교육 |
22 |
3 |
p.195 |
2011.12.31 |
<[김혜숙]> |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에 관한 종단적 추이 분석: 성별 및 사회경제적 지위가 미치는 영향 |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1 |
2 |
p.93 |
2010.06.30 |
<[김혜숙]> |
초중등학교의 교육정보화 수준에 대한 평가: AHP 지수 산출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0 |
4 |
p.31 |
2009.12.31 |
[서순식], <김혜숙>, 민경석, 황경현, 장윤정 |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한국교육공학회 |
교육공학연구 |
25 |
3 |
p.193 |
2009.09.30 |
<[김혜숙]> |
학습 및 오락 목적의 컴퓨터 활용이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 분석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36 |
2 |
p.165 |
2009.07.31 |
[백순근], <김혜숙>, 김미량, 김동일, 유예림, 박소화, 김세원, 김미림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ICT리터러시 평가 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10 |
2 |
p.383 |
2009.06.30 |
<[김혜숙]>, 백순근 |
이해당사자 기반의 u-러닝 연구학교 프로그램 평가 연구 |
한국교육평가학회 |
교육평가연구 |
22 |
2 |
p.343 |
2009.06.30 |
[Sun-Geun Baek], <Hye-Sook Kim>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udgments and fit statistics of the partial credit model |
International Objective Measurement Workshop(IOMW) |
Journal of Applied Measurement |
10 |
1 |
p.84 |
2009.03.31 |
[박현정], <김혜숙> |
컴퓨터 활용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 분석: PISA 2006 한국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평가학회 |
교육평가연구 |
22 |
1 |
p.171 |
2009.03.31 |
[백순근], <김혜숙>, 김동일, 김미량, 박소화, 유예림, 김세원, 김미림 |
중고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 연구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10 |
1 |
p.383 |
2009.03.31 |
<[김혜숙]>, 서정희, 박현정 |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PISA 2006 한국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35 |
4 |
p.107 |
2008.12.31 |
[백순근], <김혜숙>, 임철일, 김선용, 진성희, 유예림, 길혜지 |
단위학교 교육정보화 성과분석을 위한 자가진단지표 개발 연구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아시아교육연구 |
9 |
2 |
p.1 |
2008.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