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정완]> |
인공지능 활용 언어 교수 학습 |
한국영어교육학회 |
2025 KATE SIG Conference |
|
p.8 |
2025.02.07 |
<[임정완]> |
A comparative study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An integrated approach to English education: insights from the past, practices of the present, innovation for the future |
30 1 |
p.34 |
2024.10.26 |
<[임정완]> |
Digital literacies: From research to implications |
한국영어교육학회 |
A new Dimension to English Language Teaching |
|
p.3~4 |
2024.02.02 |
<[임정완]> |
A study of prospective secondary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of the metaverse platform Zep for English lesson design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AI/빅데이터 기반의 영어교육 연구방법 모색 |
|
p.64~65 |
2023.11.25 |
<[임정완]> |
Psychological Adaptabilit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English Learning under the Mixed Foreign Language Teaching Environment Monitoring |
한국영어교육학회 |
2023 KATE SIG CONFERENCE |
|
pp.56-59 |
2023.02.04 |
<[임정완]> |
메타버스 활용 영어수업에 대한 예비영어교사의 인식: Zep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학연구학회 |
2022년 한국언어연구학회 · 제주중국학회 추계연합학술대회 |
|
pp.15-25 |
2022.12.16 |
<[임정완]> |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A suit for all seasons |
한국영어교육학회 |
The Future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Where Are We? |
|
pp.101-105 |
2022.02.12 |
<[임정완]> |
한국 EPS학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한국ESP학회 |
한국의 영어교육, 코칭 그리고 특수목적영어 |
|
p.10 |
2021.11.13 |
<[임정완]> |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부 대학생들의 인식 |
대한언어학회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언어교육 및 언어학 연구 |
|
p.13 |
2021.11.05 |
<[임정완]> |
A practice-based exploration of technology enhanced assessment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
한국영어교육학회 |
English language teaching beyond the classroom |
|
p.132 |
2021.02.01 |
<[임정완]> |
A comprehensive review of reading-and writing-related articles in Modern English Education in its 20 years of history |
현대영어교육학회 |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영어교육 과제 및 전망 |
|
p.65 |
2020.12.05 |
<[임정완]> |
지능정보시대의 신기술과 영어교육 |
한국영어교육학회 |
2020 KLATE SIG: Current trends and interests in ELT |
|
p.67 |
2020.01.11 |
<[임정완]> |
Theoretical view to the approach of the edutainment |
한국영어교육학회 |
preparing the future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
|
p.81 |
2019.01.19 |
<[임정완]>, <권정혜> |
An analysis of topics and cultural contents in high shool English textbooks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
2018 PKETA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
|
p.29 |
2018.11.03 |
<[임정완]>, <권정혜>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본문 소재 및 문화란 분석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대한영어교육연구학회 |
한국영어교육 발전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법 |
|
p.80 |
2018.06.02 |
<[임정완]> |
Beyond the information gap: Defining intercultural approach |
한국영어교육학회 |
New Paradigm of English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
p.179 |
2018.01.06 |
<[임정완]> |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이해 |
글로벌영어교육학회 |
4차 산업혁명과 한국 영어교육의 미래 |
|
p.56 |
2017.10.28 |
<[임정완]> |
액션러닝을 활용한 대학영어수업 사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영어교육의 오늘과 내일 |
|
p.34 |
2017.09.23 |
<[임정완]> |
창의력개발을 위한 문제중심 영어학습 |
한국언어연구학회,한국언어정보학회,한국영어학학회, 한국현대언어학회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연구와 교육 |
|
p.239 |
2017.06.24 |
<[임정완]> |
영어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개괄 |
한국영어교육학회 |
Winter SIG |
|
p.175 |
2017.01.07 |
<[임정완]> |
예비영어교사의 학업수준과 성별에 따른 플립러닝 만족도 조사 |
대한영어교육연구학회 |
대한영어교육연구 |
|
p.71 |
2016.09.10 |
<[임정완]> |
The end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 context approach |
한국영어교육학회 |
Winter SIG |
|
p.1 |
2016.01.12 |
<[임정완]> |
의사소통중심교수법의 한계와 대안: 한국사례중심으로 |
한국언어연구학회 |
추계학술대회 |
|
p.1 |
2015.12.12 |
<[임정완]> |
The Task-based Learning Framework: Overview and Pre-task phase |
한국영어교육학회 |
Sharing the Vision: From theory to action in English education |
|
p.83 |
2015.01.10 |
<[임정완]> |
대학생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사전지식과 교육실습 영향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창의인성 영어교육의 전망과 과제 |
|
p.109 |
2014.08.06 |
<[임정완]> |
A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in high school English I textbooks |
한국영어교육학회 |
Making connections in ELT: Form, Meaning, and Functions |
|
p.57 |
2014.07.04 |
<[임정완]> |
고등학교 영어I 검정교과서 문화지도 내용 비교분석 |
한국언어연구학회,한국현대언어학회,한국생성문법학회 |
봄 언어학 공동학술대회 |
|
p.165 |
2014.06.21 |
<[임정완]> |
re-examination of authentic materials in Korean EFL context |
영어어문교육학회 |
영어어문교육학회 학술대회 |
|
p.23 |
2014.06.14 |
<[임정완]> |
Facilitating Interaction |
한국영어교육학회 |
영어교육SIG |
영어교육 1 |
p.120 |
2014.01.11 |
<[임정완]> |
원어민 영어강사에 대한 대학생의 기대와 현실 |
현대영어교육학회 |
학술대회집 |
|
p.79 |
2012.07.14 |
<[임정완]> |
A study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towards level-differenciated English classes in high school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학술대회집 |
|
p.76 |
2012.06.16 |
<[임정완]>, 최효정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ADHD경향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효과 |
현대영어교육학회 |
2011 현대영어교육학회 학술대회 - 영어교수·학스 및 평가의 새 지평 |
|
p.34 |
2011.08.20 |
<[임정완]> |
중등 영어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현대영어교육학회 |
현대영어교육학회 제21회 학술대회 |
|
p.41 |
2011.02.18 |
<[임정완]>, 박정란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영어어휘력 비교 조사: 시각과 청각장애를 중심으로 |
현대영어교육학회 |
2009 학술대회 |
9 |
p.136 |
2009.09.26 |
<[임정완]> |
영어 공교육 강화 방안: 거시와 미시적 관점에서 |
영어교과교육학회 |
영어교과교육학회 학술대회 |
|
p.106 |
2009.08.12 |
<[임정완]> |
A measurement of the lexical ability of visually impaired university students |
한국영어교육학회 |
2009년도 국제학술대회 |
|
p.195 |
2009.07.04 |
<임정완>, 박정란, 이현구 |
청각장애 대학생의 영어어휘변별력 연구 |
한국현대언어학회/대한언어학회/제주언어학회 |
2008년 가을 공동학술대회 |
|
pp.137-145 |
2008.11.08 |
<[임정완]> 외 1명 |
영화를 이용한 영어수업의 듣기와 흥미도에 관한 연구 |
교과교육학회 |
교과교육학회 |
|
p.50 |
2008.07.30 |
<[임정완]> 외 1명 |
청각장애 대학생의 영어어휘 능력 조사 연구 |
현대영어교육학회 |
현대영어교육학회 2008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p.75 |
2008.04.12 |
<[임정완]> |
The Use of NIE in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 Edutimes |
한국영어어문학회, 현대영어교육학회 |
한국영어교사연합회 국제학술대회 |
1 |
pp.237-243 |
2007.09.08 |
<[임정완]> |
A Review of Feedback Research in Second Language Writing |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
|
pp.75-92 |
2007.06.25 |
<[임정완]> |
대학 교양영어 과목 개선을 위한 사례 연구 |
현대영어교육학회 |
현대영어교육 |
|
pp.32-49 |
2006.08.09 |
<[임정완]> |
Korean College EFL Writers' Composing Processes: An Exploratory Study of 9 Students |
한국영어교육학회 |
영어교육 |
|
pp.150-161 |
2004.06.25 |
<[임정완]> |
Korean College EFL Writers' Composing Processes: 3 Case Studies |
현대영어교육학회 |
현대영어교육 |
|
pp.55-56 |
2004.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