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식]> |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경향성 및 시사점 |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한국발달장애재활학회 |
디지털시대의 특수창의융합과 미디어 문식성에 대한 조망 |
|
pp.1-23 |
2022.06.13 |
<[정혜빈]>, <[박정식]>, 이성자 |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의 현황과 실천과제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국제재활과학연구소 외 |
재활과학대학 3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
|
p.205 |
2018.06.04 |
<[이근용]>, <박정식> |
한국발달장애학생의 고등교육의 동향 |
중화민국특수교육학회 |
중화민국특수교육학회 연차 국제학술대회 |
|
p.45 |
2016.11.26 |
<박정식>, <최우형> |
발달장애인의 중등 이후 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
한국특수교육학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춘계학술대회 |
|
p.308 |
2015.05.30 |
<[박정식]>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의역사와 동향 |
한국특수교육학회 |
2015 한국특수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
|
p.34 |
2015.05.30 |
<[박정식]> 외 1명 |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평가시스템 개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중증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비교교육학적접근- |
|
p.55 |
2015.01.17 |
<박정식>, <조인수> |
전환교육서비스 이슈와 실행과제 |
한국특수교육학회 |
2013년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
|
p.53 |
2013.10.19 |
<[박정식]> 외 1명 |
발달장애학생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으로의 전환 경로 현황과 방향 |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대학원 |
창파 국제 학술제 |
|
p.1 |
2013.01.15 |
<[박정식]>, <이문정> 외 1명 |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High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FID(Asia Feder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
20th ACID |
|
p.1050 |
2011.08.25 |
<[박정식]> 외 1명 |
A Comparative Study of the Laws Related to Family Suppor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tween the U.S. and Republic of Korea |
AFMR(Asian Federa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
The 20th Asian Conference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
|
p.281 |
2011.08.25 |
<박정식> 외 2명 |
Comparative research on the cultivating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tween Taiwan and Korea |
AFID(Asian Federation on Intelletual Disabilities |
20th ACID |
|
p.749 |
2011.08.23 |
<[박정식]> |
미국 지적장애학생의 고등교육 프로그램 |
나사렛대학교 입학사정관실 |
장애학생의 고등교육을 위한 전문가 초청 세미나 |
|
p.55 |
2011.03.31 |
<[박정식]> |
발달장애인을 위한 고등교육 지원의 필요성과 실천 방향 |
국제재활과학연구소 |
2010년도 학술세미나 |
|
p.67 |
2010.11.30 |
<[박정식]> |
AAIDD 11차 지적장애 지원 체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
2010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p.23 |
2010.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