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민욱]>, [김우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한국특수교육학회 |
장애인 고등교육: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미래 방향과 실천적 과제 |
|
pp.629-644 |
2025.06.28 |
<[옥민욱]>, <박경옥>, <이혜주> |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 분석: 2013년에서 2023년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인하대병원 발달장애인거점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 |
디지털시대의 의사소통 혁신: AAC 활용의 확장 |
|
pp.177-178 |
2024.12.14 |
<[옥민욱]>, [김지연] |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운영 및 발전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
2024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
|
pp.96-98 |
2024.11.09 |
<[옥민욱]>, [이미경] |
그래픽 조직자와 태블릿PC를 활용한 UDL 기반 직접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한국학습장애학회 |
2024년 한국학습장애학회 추계학술대회 |
|
p.67 |
2024.09.28 |
<[옥민욱]>, [김지연], <박경옥> |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nova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 |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nova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 |
|
p.5 |
2024.01.16 |
<[옥민욱]>, [김지연], <박경옥> |
장애학생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실행경험 및 인식 -인공지능교육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학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동계 학술대회 |
|
pp.110-118 |
2023.12.09 |
<[홍정숙]>, <옥민욱>, 표윤희 |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과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
한국특수교육학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하계 학술대회 |
|
pp.3-29 |
2023.06.17 |
<[옥민욱]>, <박경옥>, 김지연 |
실감형 콘텐츠 체험 교실의 활용 현황 및 지원 요구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2023 동계학술대회 |
|
pp.57-59 |
2023.01.13 |
<[이미경]>, <[옥민욱]> |
Effect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based Explicit Vocabulary Instruction using a Graphic Organizer and an iPad o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
|
p.35 |
2023.01.03 |
<[이미경]>, <옥민욱> |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의 어휘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지식 습득에 미치는 효과 |
한국특수아동학회 |
한국특수아동학회 |
2022 1 |
p.100 |
2022.07.23 |
<[옥민욱]>, [김지연], <박경옥> |
코로나19 상황 속 원격수업에서의 보조공학 활용 관련 특수교사들의 경험 및 인식 |
한국특수교육학회 |
한국특수교육학회 |
1 1 |
p.444 |
2021.12.11 |
<[승예린]>, <[옥민욱]> |
국내외 장애학생 대상 도식기반교수 및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연구 분석 |
한국특수교육학회 |
한국특수교육학회 |
1 1 |
p.563 |
2021.12.11 |
<[옥민욱]> |
비디오 모델링의 장애학생 및 읽기부진 학생의 읽기교수에의 활용 |
한국독서학회, 한국 학습장애학회 |
2021 한국독서학회 한국학승장애학회 연합학술대회 |
1 1 |
p.530 |
2021.12.04 |
<[옥민욱]> |
장애 학생 및 읽기 부진 학생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읽기 교수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하계 학술대회 |
2021 1 |
p.27 |
2021.06.04 |
<[옥민욱]>, <홍정숙> |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 관련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외 |
제12회 창파국제학술대회 |
|
p.325 |
2020.12.18 |
<[옥민욱]> |
그래픽조직자와 아이패드 애플리케이션을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가 읽기장애 학생의읽기이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특수교육학회 |
한국특수교육학회,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
p.537 |
2020.10.17 |
[이지현], <옥민욱>, 다이앤 브라이언트, 신미경 |
Algebra intervention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Council for Learning Disabilities |
42nd International virtual conference on Learning Disabilities |
42 1 |
p.12 |
2020.10.15 |
<[옥민욱]>, 사라 호워스 |
Video modeling for teaching reading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at risk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2020 1 |
p.221 |
2020.02.08 |
<[옥민욱]>, 나탈리 해거티 |
Using an augmented reality app to support struggling readers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2020 1 |
p.154 |
2020.02.06 |
<[옥민욱]>, [나탈리 해거티], [아담 카레온] |
Educator experience: Video modeling using augmented reality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2020 1 |
p.86 |
2020.02.05 |
<[옥민욱]>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지체 중복 건강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공학의 활용 |
한국 지체 중복 건강장애 교육학회 |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
|
p.70 |
2020.01.17 |
<[옥민욱]> |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비디오 모델링이 읽기부진학생의 파닉스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교육심리학회, 한국 학습장애학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19년도 (사)한국교육심리학회연차학술대회 |
|
p.151 |
2019.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