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ICT 교육의 요람,
정보통신대학을 소개합니다.
정보통신대학장 류정탁
안녕하십니까? 대구대학교 정보통신대학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대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은 고도지식정보화 시대에 부합하는 최첨단의 학문을 연구 및 교육하는 곳으로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우수한 ICT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대학은 전자전기공학부(전자공학전공, 전자제어공학전공), ICT융합학부(정보통신공학전공, 멀티미디어공학전공, 인공지능전공), 컴퓨터정보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 컴퓨터소프트웨어전공, 정보보호전공)의 3개 학부 8개 전공에 총 1,500여명의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이 재학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적 수준의 학문과 연구 배경을 가진 50여명의 젊고 유능한 교수진들이 열정을 갖고 산업체 현장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위해 매진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보통신대학은 BK21 정보기술인력양성사업을 시작으로 그동안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NURI), 지역혁신특성화사업(RIS), 대학 IT교육 경쟁력 강화사업(NEXT), 유비쿼터스신기술연구센터 구축사업등 여러 국책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오랜 기간 착실히 내실을 다져 왔습니다. 특히 ‘2013년도 스마트 앱(App) 창작터 운영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학교육혁신센터 사업을 통하여 공학도에 필요한 창의성을 개발하고 있고, 2017년부터는 LINC플러스 사업과 같은 정부 지원의 대규모 인력양성사업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고 있기도 합니다.
정보통신대학은 IT분야의 국내외 기업과 산업 현장에서 활약할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수요지향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는 입학과 동시에 평생지도교수가 배정되어 졸업까지 진로를 함께 고민하고, 체계적인 설계교육과 팀워크 배양 등의 실용중심 교육을 통하여 취업의 질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정규수업 이외에도 각종 동아리 활동, 어학연수, 비교과과정 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학생 능력계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대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은 앞으로도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은 물론 인성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양성에 중심적 역할을 다하겠습니다. 우리 정보통신대학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 주시길 부탁합니다.
대학개요
정보통신대학은 첨단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에 초점을 둔 학부중심교육을 지향하면서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특히 본 대학은 대구대학교의 특성화대학으로 지정되어 있음은 물론 교육인적자원부의 두뇌한국21(BK21)사업,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NURI)과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학과 교과과정 개편 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특히 지난 2000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실시한 전국 정보통신 관련학과 평가에서는 최우수 학부의 영예를 차지하는 등 그 위상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목적/목표
지식정보사회를 선도하는 정보통신 전문 인력 양성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공학인 양성
현장중심 실용적 기술인 양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문인 양성
대학연혁
정보통신대학 연혁
2020
2020.03
정보통신공학부를 ICT융합학부로 명칭 변경
정보통신공학부 통신공학전공을 ICT융합학부 정보통신공학으로, 정보통신공학부 임베디드시스템공학전공을
ICT융합학부 인공지능전공으로 명칭 변경
2010
2016.07
컴퓨터·IT공학부를 컴퓨터정보공학부로 명칭변경(컴퓨터공학전공/컴퓨터소프트웨어전공)
2016.02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 사업의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센터’ 설치
2016.02
2015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자 263명(총 졸업생 3,953명)
2016.01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 사업을 위한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삼성전자(주)구미사업장과 업무 협약 체결
2015.09
경상북도 주관 계약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신설
2012.06
중소기업청 주관 “2012년도 중소기업형 계약학과” 주관대학 선정-IT융합학과
2012.03
전자공학부를 전자전기공학부로 명칭 변경
전자공학부 전자시스템공학전공을 전자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전자전기공학부 전공별 모집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선정-공학교육혁신센터
2012.02
정보통신대학 7개 전공에 대한 ‘공학교육인증’ 획득
2011.11
경북 스마트 모바일 앱개발지원센터(GB SMAC) 개소
2011.03
중소기업청 주관 ‘2011년도 앱(APP) 창작터 운영사업’ 주관기관 선정
2010.08
대구대학교 앱센터(APP Center) 개소
2010.03
정보통신공학부 정보통신공학전공을 임베디드시스템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정보통신공학부 전공별 모집
2000
2009.10
자일링스(Xilinx)공인 인증센터 유치
2008.02
지식경제부 대학IT교육 경쟁력 강화사업(NEXT)4개부분 선정
2006.07
정보통신부 지원 NEXT 지원 사업(전자공학부, 정보통신공학부, 컴퓨터·IT공학부) 3개 부분 선정
정보통신부 지원 유비쿼터스 신기술 센터 유치
교육인적자원부 NURI(임베디드산업 인력양성)사업 선정
교육인적자원부 NURI(POP·IT인력양성)사업 선정
정보통신부 IT 협동연구센터 사업(참여) 선정
2004.03
정보통신대학 신설(학부분리)
전자정보공학부(전자공학전공/제어계측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부(통신공학전공/멀티미디어공학전공/인터넷공학전공)
컴퓨터·IT공학부(전산공학전공/정보공학전공)
정보통신부 IT 교과과정 변경 사업 선정
2001.02
학문영역평가(전기전자정보통신 및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최우수 대학 선정
2000.03
정보통신공학부와 컴퓨터정보공학부를 정보통신공학부로 통합, 인터넷공학전공 신설
1990
1999.08
교육인적자원부 BK21 정보기술인력양성사업 선정
1999.03
정보통신공학부 정보통신공학전공을 통신공학전공으로 명칭변경
멀티미디어공학전공 신설
1996.03
전자전기공학부를 정보통신공학부로 명칭 변경
컴퓨터정보공학부로 학부통합(전산공학전공/정보공학전공)
대학원 컴퓨터정보공학과 개설
1995.03
전기전자공학부로 학부통합(전자공학과/정보통신공학과/제어계측공학과)
1993.03
대학원 전자공학과 신설
1992.03
공과대학 전산정보학과 신설
1991.03
공과대학 제어계측공학과 신설
1980
1989.03
이공대학에서 공과대학 분리 및 정보통신공학과 개설
공과대학 : 전자공학과/전자계산학과/정보통신공학과
1985.03
이공대학 전자계산학과 신설
1984.03
이공대학 전자공학과 신설
1982.03
사범대학 전자공학교육전공 신설
1981.10
대구대학교로 교명변경
1950
1956.05
한국사회사업학교 개교
행정실안내
소개
정보통신대학은 2004년 3월에 공과대학에서 분리되어 전자전기공학부, ICT융합학부, 컴퓨터정보공학부의 3개 학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자전기공학부에는 전자공학, 전기·지능로봇공학 전공이, ICT융합학부에는 정보통신공학, 멀티미디어공학, 인공지능 전공이, 컴퓨터정보공학부에는 컴퓨터공학, 컴퓨터소프트웨어, 정보보호 전공의 총 3개 학부 8개 전공이 있습니다. 그리고 산업체 계약학과로써 현장실무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메카트로닉스공학과와 IT융합학과가 있습니다.